4. 妙行無住分 묘행무주분 : 집착없는 보시 (머무름이 없는, 바라는 바 없는 보시, 미묘한 행위)
“復次 須菩提, 菩薩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부차 수보리 보살어법 응무소주 행어보시
所謂 不住色布施 不主聲香味觸法布施
소위 부주색보시 부주성향미촉법보시
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수보리 보살 응여시보시 부주어상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하이고 약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
須菩提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不也世尊”
수보리 어의운하 동방허공 가사량부 불야세존
“須菩提 南西北方 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 “不也世尊”
수보리 남서북방 사유상하허공 가사량부 불야세존
“須菩提 菩薩 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수보리 보살 무주상보시복덕 역부여시 불가사량
須菩提 菩薩 但應如所敎住”
수보리 보살 단응여소교주
“그리고 또한 수보리여, 보살은 법(대상)에 응당 머무는 바 없이(경계에 머문 바 없이, 집착 없이) 보시를 행해야 한다. 이른바 형색(대상,물질)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하며 소리, 향기, 맛, 감촉과 법에도 머무르지 아니하고 보시해야 한다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하되 상에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
어찌한 까닭인가,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어찌 생각하는가,
동쪽 허공을 가히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여! 남서북방, 사유(동남 동북 서남 서북), 위 아래 허공을 가히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행하는 보시의 복덕도 또한 이와 같아서 가히 헤아릴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