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강경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 18분 一切同觀分 일체동관분

18. 一切同觀分 일체동관분 : 일체를 똑같이 보다

(현재에서 총체적으로 보라, 일체를 하나로 보다, 제대로 본다. 나눌 때 상이 생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부

 

如是世尊 如來有肉眼

여시세존 여래유육안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천안부

 

如是世尊 如來有天眼

여시세존 여래유천안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慧眼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혜안부

 

如是世尊 如來有慧眼

여시세존 여래유혜안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法眼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법안부

 

如是世尊 如來有法眼

여시세존 여래유법안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불안부

 

如是世尊 如來有佛眼

여시세존 여래유불안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항하중소유사 불설시사부

 

如是世尊 如來說是沙

여시세존 여래설시사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수보리 어의운하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항하

 

是諸 恒河所有沙數 佛世界 如是 寧爲多不?”

시제 항하소유사수 불세계 여시 영위다부

 

甚多世尊

심다세존

 

佛告 須菩提 爾所國土中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불고 수보리 이소국토중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실지

 

何以故 如來說 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하이고 여래설 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 不可得 現在心 不可得 未來心 不可得

소이자하 수보리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 불가득 미래심 불가득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육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육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천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혜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법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법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불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불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항하(갠지스강) 가운데 있는 모래와 같은, 이 모래에 대해 여래가 설한 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이 모래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수보리야 어찌 생각하느냐, 한 개의 항하 가운데에 모래가 있고, 이 모래 만큼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들의 모래알 수만큼 부처의 세계가 있다면, 이는 얼마나 많다고 하겠는가?”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 곳 국토에 중생이 있는 바 약간의 마음의 씨를 여래는 다 알고 있느니라.

어떤 까닭인가,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이란 다 마음이 아니라 이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다.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