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無得無說分 무득무설분 : 정법이랄 것이 없다
“須菩提 於意云何
수보리 어의운하
如來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如來 有所說法耶”
여래 득아녹다라삼먁삼보리야 여래 유소설법야
須菩提言 “如我解佛所說義
수보리언 여아해불소설의
無有定法 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定法如來可說
무유정법 명아녹다라삼먁삼보리 역무유정법여래가설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하이고 여래소설법 개불가취 불가설 비법 비비법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소이자하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위 없이 바른 깨달음(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제가 부처님의 설하신 뜻을 깨닫기로는
정한 법이 있지 않은 것을 이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며, 또한 정한 법이 없음을 가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바 법은 모두 취할 수 없으며, 말할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은 모든 성현들이 다 무위의 법에 따라 차별이 있기 때문입니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 9분 一相無相分 일상무상분 (0) | 2023.07.29 |
---|---|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 8분 依法出生分 의법출생분 (0) | 2023.07.29 |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 6분 正信希有分 정신희유분 (0) | 2023.07.29 |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5분 如理實見分 여리실견분 (0) | 2023.07.29 |
금강경 (살펴보기 : 한자해석) - 제4분 妙行無住分 묘행무주분 (0) | 2023.07.29 |